거꾸로 교실 Edu 3.0
Touchable Physics & Education
물체를 대전시키는 방법-3
접지를 이용한 대전
마찰과 유도를 이용하여 물체를 대전시키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어요. 이번 페이지에서는 물체를 대전시키는 3번째 방법인 접지를 이용한 방법에 관해 배워볼거예요. 정전기 유도와 비슷하지만 손가락을 갖다 대는 접지라는 과정이 나오는데요, 정전기 유도와 헷갈릴 수 있으니 잘 정리하기 바래요.
지난 시간 내용을 학습 하지 않은 학생은 '물체를 대전시키는 방법 -1 마찰전기' '물체를 대전시키는 방법 -2 정전기 유도' 파트를 먼저 공부하고 넘어오세요.
학습 목표
1. 물체를 대전시키는 3가지 방법 중 세 번째로 접지를 이용한 방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유도를 이용한 방법과 접지를 이용한 방법의 차이점을 설명할 수 있다.
물체를 대전시키는 방법에는 3가지가 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접지를 이용한 방법에 대해 알아봅시다.
물체를 대전시키는 방법-3
물체를 대전시키는 두 번째 방법은 접지를 이용한 방법입니다.
접지는 대전체를 도선으로 지면과 연결하는 것인데요. 대전체에 손가락을 갖다 대는 것으로 쉽게 경험할 수 있습니다. 우리 몸에서는 전하가 아주 잘 이동해요. 그리고 지면은 전하가 아주 아주 아주 많고 넓기 때문에 전하의 무한 공급체로 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로 대전된 물체를 손으로 잡으면 대전체에 있는 (-) 전하는 우리 몸을 타고 지면으로 흘러 들어갑니다. 그리고는 물체는 중성이 되어 버립니다. 겨울철에 스웨터를 입다가 따끔한 적 있나요? 이 것은 스웨터의 전하가 우리 몸으로 흘러 들어왔다는 뜻이랍니다.
접지를 이용한 방법은 정전기 유도를 이용한 방법과 원리는 똑같아요. 하지만 결과는 다르니, 잘 비교해서 정리해두세요.
그러면 접지를 이용한 대전 방법에 대해 알아봅시다.





다음 실험 영상에서 사용한 막대는 (-)전하가 튀어나오는 반데그라프 막대입니다. (-) 대전체라고 생각하고, 실험 결과에 대해 설명해봅시다.
실험으로 이해하기
오른쪽 영상에서 은박지와 막대가 부딪히는 순간을 주의깊게 살펴보세요. 전과 후의 차이를 설명해보세요.
위 실험과 다음 실험은 무슨 차이가 있을까요?